'급할수록 돌아가라'는 속담도 있지만 말처럼 쉽지가 않습니다. 어떤 일이 닥치면 당장 해결을 하고 싶어 안달볶달 하다가 망쳐버린 경험이 한 두번이 아닌데요. 저처럼 빠르게 하려다가 오히려 실수하고, 조바심 때문에 결과가 안좋은 경험... 다들 한 번쯤 해보셨을 거에요.
그런데 조바심과 성급함은 성격이나 습관이 아니라, 심리적인 원인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.
지금부터 왜 그런 심리가 생기는지, 그리고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10가지 방법을 알려드릴께요!
1. 조바심과 성급함을 부르는 심리적 원인
① 불안감과 통제 욕구
→ 결과가 빨리 나와야 안심이 되니까, 일을 서두르게 됨
② 자신에 대한 신뢰 부족
→ “나는 잘 못할 거야”라는 불안이 빨리 끝내야만 마음이 편해짐
③ 성과 집착형 사고
→ 과정을 즐기지 못하고, 결과만 중시 → 빨리 끝내고 싶음
④ 타인의 평가에 민감함
→ 남들이 어떻게 볼까 두려워서 조급하게 행동하게 됨
⑤ 실패에 대한 두려움
→ 실수를 인정하기 싫어서 일단 빨리 처리하고 넘어가고 싶은 심리
2. 조바심·성급함 해결방안 10가지!
1. ‘지금 이 순간’에 집중하는 훈련 (마인드풀니스)
✔ 지금 해야 할 한 가지 일에 집중하기
✔ ‘해야 할 일’이 아니라, ‘하고 있는 일’에 몰입
➡️ 조바심은 미래 걱정에서 오기 때문에 현재에 집중하면 불안이 줄어듦
💡 방법:
👉 5분간 타이머를 설정하고, 오직 눈앞의 일에 집중하는 연습부터 시작!
2. 행동을 ‘천천히’ 의식적으로 실행하기 (속도 조절 훈련)
✔ 걷기, 타이핑, 말하기 속도를 일부러 20% 줄이기
✔ 생각보다 천천히 행동할수록 실수도 줄고 집중력 향상
💡 방법:
👉 "급할수록 속도를 늦추는 습관"을 몸에 익히기
👉 타이핑할 때 ‘글자 하나하나를 또박또박’ 입력해보기
3. 조급함이 나타날 때 ‘멈춤 신호’ 만들기
✔ 손바닥에 작은 스티커나 문구를 붙여두고
✔ 조바심이 생기면 그걸 보고 심호흡 3회
➡️ 조급함을 느끼는 순간, 자동 반응으로 행동하기 전에 멈춤!
💡 방법:
👉 손목에 고무줄을 차고, 조급함이 느껴질 때 한 번 ‘톡’ 튕기기 → 인지 전환 신호
4. ‘완벽보다 완성’을 목표로 하기
✔ 빨리 하려고 하면 실수하고, 완벽하려고 하면 조급해짐
✔ "100점짜리를 목표로 하지 말고, 80점으로 완성한다!"는 기준 설정
➡️ 빨리하려는 강박이 완성도보다 앞서면 더 망칠 수 있음
💡 방법:
👉 완벽하지 않아도 끝까지 완성해보는 경험을 쌓기
👉 완성 후 개선해도 늦지 않다는 사고 방식 전환!
5. 시간 관리법을 적용해 ‘시간 프레임’을 바꾸기 (뽀모도로 기법 추천)
✔ 일을 짧게 쪼개서 집중 후 휴식 → 불안이 줄어들고 집중력 증가
✔ 25분 집중, 5분 휴식 → 조급함 완화에 효과적!
➡️ 시간에 대한 부담이 적어지고, 서두르지 않게 됨
💡 방법:
👉 25분 타이머 설정 후 그 시간만 집중!
👉 긴박한 느낌을 줄여주는 최고의 시간 관리법
2025.03.01 - [심리학] - 집중이 잘 되지 않고 산만한 게 고민일 때 효과적인 방법!
집중이 잘 되지 않고 산만한 게 고민일 때 효과적인 방법!
해야 할 일들도 많아지고, 이것 저것 온갖 매체들이 나를 유혹하는 요즘 세상에서 한가지에 집중하기란 참 어려운 일 같습니다. 그렇지만 집중해서 해야 할 일들이 있기 때문에 산만함이 몸에
cutegirl4001.com
6. 작은 성공 경험을 반복적으로 쌓기
✔ 조바심은 ‘잘하고 있다’는 확신이 없어서 생김
✔ 작은 일이라도 계획한 대로 실행 → 성취감 확보 → 조급함 완화
💡 방법:
👉 하루 목표 3가지 정하고, 하나씩 달성 체크
👉 완료된 목록을 시각화(체크 표시, 색칠 등)하면 뇌가 안정됨
7. ‘안 해도 되는 일’을 과감히 내려놓기 (우선순위 재정비)
✔ 모든 일을 ‘빨리 해야 해’라고 생각하면 조급해짐
✔ 지금 가장 중요한 것만 집중하고, 나머지는 과감하게 미루기
💡 방법:
👉 ‘오늘 꼭 해야 할 일 vs. 나중에 해도 되는 일’ 분류
👉 ‘지금이 아니어도 괜찮아’라고 자신에게 말하기
8. 긴장 완화 신체 루틴 만들기 (호흡과 스트레칭)
✔ 몸이 긴장하면 마음도 조급해짐
✔ 4초 들이마시고, 6초 천천히 내쉬는 심호흡 반복
✔ 가볍게 어깨를 뒤로 돌리고 긴장을 풀어주기
💡 방법:
👉 하루 3번, 조급함이 느껴질 때마다 3분 루틴 실천!
👉 몸이 편해지면 마음도 느긋해집니다.
9. 감정일기 작성으로 나를 객관화하기
✔ 조급했던 순간과 이유, 그때의 생각과 감정을 기록
✔ "왜 내가 성급했지?" → 원인을 인식하고 패턴 파악
➡️ 조급함은 무의식적일 때 더 강력합니다. 쓰면서 인식하면 감정이 정리돼요.
💡 방법:
👉 오늘 내가 가장 조급했던 순간 1가지 기록
👉 그리고 ‘어떤 선택을 했으면 더 나았을까?’ 돌아보기
10. ‘기다림’을 연습하는 소소한 습관 만들기
✔ 줄 서기, 신호등 기다리기 등 일상에서 일부러 느긋해지기 훈련
✔ ‘기다림’을 편하게 만들면 조급함이 줄어듦
➡️ 참을성은 연습을 통해 길러질 수 있습니다.
💡 방법:
👉 엘리베이터 대신 계단 오르기, 신호등 기다릴 땐 호흡 조절 연습
👉 디지털 기기 사용도 잠깐 멈추고 ‘느긋함’을 경험하기
◈ 조바심과 성급함은 습관이 아니라 심리 패턴입니다!
✅ 조바심이 심할수록 ‘일단 멈춤’하고 ‘느긋하게 하는 연습’이 필요
✅ 시간, 감정, 행동을 쪼개서 관리하면 실수와 불안을 줄이고 집중력은 높아짐
✅ 작은 성공과 기다림의 경험이 자신감과 차분함을 키웁니다
매일매일 조금씩 연습해서 '조바심'과 '성급함'으로 일을 망치는 일이 없어지길 기대해 봅니다 :)
오늘도 마음 편안한 하루되세요~
'마음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'헐,대박' 많이 쓰면 감정 바보 된다? (0) | 2025.04.07 |
---|---|
출산 후 웃을 때 눈물 나는 이유와 해결방법 5가지 (2) | 2025.03.21 |
비오는 날 더 우울한 이유가 있었네 (10) | 2025.03.16 |
남을 설득하기 위해 알아두면 좋은 '스피치 심리학' (0) | 2025.03.14 |
어린이집 가기 싫어하는 아이, 현명한 적응 방법! (3) | 2025.03.11 |